이전 포스팅에선 GitHub에 가입하는 방법을 알아 보았다.

이번 포스팅 에서는 GitHub에 가입된 아이디에 작업공간인 repo를 생성하고 

해당 내용을 불러오는 방법을 알아볼것이다.




이전 포스팅에서 가입하고 이메일을통해

계정까지 활성화하고 난뒤 로그인하면 다음과 같은 페이지가 나온다.



우리는 새로운  repositories를 만들 것 이므로 우측 하단부분의 New repository버튼을 클릭해서 

새 저장공간을 만들기로한다. 





해당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나오는 페이지이다.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쓰면 되는데 우리는 기본적인 저장소를 생성할예정이니

Repository name 칸에 저장소의 이름을 작성해준다. 여기선 hello로 작성하였다.



그외에 따로 건드릴 부분은 없고 Create repository 버튼을 눌러 저장소를 생성 해준다.





정상적으로 생성이 완료된 모습 

이페이지를 종료 하지 말고 일단 터미널로 이동한다.



우리는 클론 기능을 이용해서 파일과 기본 설정 정보를 불러올것이다.

우선 폴더를 생성하고 해당 폴더로 이동한다.




그후 clone기능을 이용해 위에서 생성한 repo를 불러온다.



git clone ~~~URL정보 입력~~~~





위의 코드를 이용해 repo의 기본 설정 값을 불러오게되면 

해당 repo의 이름의 폴더가 생성되게 되고

해당 폴더안에는 .git이라는 폴더가 생성되어 설정값이 들어있게 된다.





당 폴더안에서 git remote -v 명령어를 수행시 설정에 들어있는 url값이 나온다.

이 설정값은 git remote add 이름 url  기능을 이용하여 추가할수 있다.



여기까지 저장소를 생성하고 클론 및 불러오는것을 해보았다.

다음 포스팅에는 코드를 작성하고 업로드하는 방법을 알아볼 예정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