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러렐즈상에서 우분투를 설치하고 기본 우분투에 로그인 했을 때 

GUI상에서 작업 할 수 있도록 가상머신이 작동한다.


하지만 이 가상머신상에서 직접 코드를 작성하고 무언가를 할때 끊김현상이나 키 밀림 같은 현상이 발생하게된다.



우리는 이 가상머신에 ssh연결을 해서 더 쾌적한 환경에서 개발을 해볼려고 한다. 


ssh연결은 Secure Shelld의 약자로써 리눅스나 유닉스같은 환경에서  직접 연결하지않고


터미널 연결을 통해 CUI환경을 연결 가능 하다.



윈도우계열에선 putty나 xshell 같은 툴 들을 이용해서 연결 해야하지만 맥은 따로 ssh 연결프로그램을 설치해줄 필요 없이


설치가 되어있어서 그냥 명령어를 치고 연결만 하면 된다.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 보자.




1. 우분투 상에서 sudo apt-get install ssh 명령어를 쳐서 설치를 진행해주도록한다.














2. 정상적으로 설치가 끝났다면 사용자 이름@컴퓨터이름을 출력해주고 커서가 깜빡인다.






설치는 이것으로 다 끝났다.





이제 우리는 이 가상머신의 정보를 가져와서 리얼머신에서 사용하여야하기때문에 ssh를 연결하기위해 

필요한 정보 즉 ip주소를 가져 올 것 이다




3. ifconfig를 이용하여 해당 가상머신의 네트워크 정보를 가져온다.




ip정보는 다음과 같다       ->     10.211.55.4




4. 맥의 터미널을 켜서 ssh명령어를 실행한다


넘겨주는 파라메터 값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 계정명@ip주소 혹은 컴퓨터 이름 -p 포트번호


하지만 우리는 기본 포트번호 이므로 포트번호는 적어주지 않아도 된다.




5. 성공적으로 연결된 모습이다.  












이런 식으로 ssh를 연결해 가상머신을 제어 할 수 있다. 







'공부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Git 처음 시작하기 - repo생성 및 fetch  (0) 2015.12.22
[우분투] Git 처음 시작하기 - GitHub가입  (0) 2015.12.21
[우분투] Git 설치  (0) 2015.12.21
mkdir  (0) 2014.08.02
Systemctl 명령어  (0) 2014.08.02

+ Recent posts